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36

Postman : 개념 및 API request Postman 이란? Postman은 API를 만들고 테스트하는 플랫폼이다. 공유된 RESTful API를 분석하고, 자신이 직접 만든 API를 테스트하는 데 주로 쓰인다. 일반적으로 API를 테스트하려면 HTML 리퀘스트를 보내야 하는데, 이때 HTML이나 자바 스크립트로 코드를 짜서 테스트 구현 환경을 만들어 주어야 한다. 하지만 Postman을 활용하면 그 과정을 생략하고, 플랫폼 상에서 즉각적으로 API의 기능들을 테스트해볼 수 있다. Postman 설치 Postman 웹사이트에서 데스크탑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받거나 로그인 후 브라우저에서 웹 앱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API Requests 원하는 API를 사용하기 위해 Postman에서 request를 보낼 수 있다. Request를 통해서.. 2022. 1. 11.
밴쿠버 학생들을 위한 교통카드 정기권: U-pass 유패스 Compass card = 한국의 교통카드 Compass card는 어디서 구매할 수 있나요? 컴패스 카드는 $6의 디파짓을 걸고 구매할 수 있다. (2022년 1월 기준) 돈을 충전해서 한국의 교통카드처럼 사용하는 방법도 있고, monthly pass나 day pass처럼 한달, 하루 정기권을 충전하는 카드가 될 수도 있다. 모든 skytrain 역에 가면 이렇게 생긴 자판기가 있는데, 여기서 카드를 구매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현금, Debit 카드, 신용카드 모두 결제가 가능하니, 원하는 방식으로 카드를 구매하면 된다. (출처 - https://www.translink.ca/transit-fares/where-to-buy#compass-wristband-and-wearables) Compass Ca.. 2022. 1. 8.
BCIT CST Co-op (a.k.a 캐나다 컬리지 인턴쉽 / 코업) + 구직 팁 Co-op 첫 번째 학기가 끝나면 해당 학기의 성적으로 코업(aka 인턴십)을 할 수 있는지 결정이 된다. 성적 자체는 절대 평가로 점수를 매기지만, 코업은 상대 평가로 인원을 제한한다. 일반적으로 한 학년의 3분의 1만 코업에 참여할 수 있는데, 우리 텀 같은 경우 전체 150명 중 50명만 코업에 참여할 수 있었고, 마지막 50번째 학생의 성적이 말하자면 커트라인 점수가 되는 것이다. 보통 다운타운에 set가 2개, 버나비에 4개가 있어 비율적으로 1:2가 나와야 이상적인데, 이번에 다운타운에서 코업에 들어간 학생들만 세어보니 20명 가까이 되었었다. (그 중 우리 set 친구들이 10명 좀 넘는다는 건 안 비밀 😛) 캠퍼스별로 티오를 내어주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알 수 있었다. 2학기는 코업을 하는.. 2022. 1. 6.
[Tr to Pr Pathway] 캐나다 영주권 타임라인 나의 캐나다 정복기 2018년 2월 | Visitor 비자로 입국 2018년 4월 | 워킹홀리데이 신청 2018년 7월 | 워킹홀리데이 인비 2018년 8월 | 워킹홀리데이로 재입국 2019년 2월 | 한국 귀국 2020년 3월 | 남편과 결혼 후 open work permit 신청 2020년 7월 | open work permit 으로 재입국 2020년 11월 | CST 합격 후 학생 비자 신청 2020년 12월 | 학생 비자 + 코업 비자 2021년 1월 | 학생 신분으로 CST 재학 2022년 1월 | 현재, 코업 워킹 비자로 코업 시작 영주권 신청 타임라인 (2021년) 5월 6일 | Tr to Pr Pathway: Graduated International Student Stream 으로 영주권.. 2022. 1. 5.
BCIT CST Term 2 후기 (2021 Sep) 2021년 가을 학기를 끝마치고 쓰는 후기. 1학기와 동일하게 2학기의 자세한 프로그램 설명은 여기로 가면 확인할 수 있다. Term 1 vs Term 2 1학기에는 7학점 짜리 독점 과목이 있었던 반면, 2학기에는 credit이 고루 분포되어 있는 걸 볼 수 있다. 1학기와 거의 비슷하게 커뮤니케이션 과목 하나, 수학 과목 하나, 나머지는 computer architect 나 프로그래밍 언어에 대한 과목으로 나누어져 있다. 1학기와 마찬가지로 다운타운 캠퍼스에서 수업을 들었고, 코로나가 조금 나아진 덕분에 blended delivery (대면 반, 온라인 반)으로 같은 set 친구들을 직접 만날 수 있었다. 워낙 반 분위기가 좋은 편이었지만, 직접 만나니 더 친해지고 가까워질 수 있었고, 다같이 모여 .. 2022. 1. 5.
BCIT CST Term 1 후기 (2021 Jan) 네이버 블로그에 작성해두었던 캐나다 BCIT Computer Systems Technology (CST) 첫 번째 학기 후기를 옮겨 적었다. 나는 BCIT CST 다운타운 캠퍼스에서 한 학기를 방금, 막 끝마쳤다. (2021년 1월 - 5월; 5월에 쓴 글이다) 사실 여기 학교 공식 홈페이지의 커리큘럼에 각 과목들에 대해 잘 설명해두긴 했지만, 직접 겪기 전까진 비전공자로서 막막함을 많이 느꼈다. 어떤 과목인지 거의 감도 오지 않았고. 그래서 학기도 끝났는데 간단하게 어떤 과목들을 배웠는지, 한번 경험을 말해볼까 한다. 사실 이런 비슷한 글이라도 있었다면, 입학 전 BCIT를 결정하기까지 좀 더 세심하게 찾아볼 수 있었을 텐데. 그 아쉬운 마음을 담아 누군가에게 도움이 되길 바라며, 글을 작성해본다! 다.. 2021. 12. 27.